광고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이 가장 변수

기존 선거구 ‘치열’ vs 시설 선거구 ‘인물난’ 예상

이명우 기자 | 기사입력 2015/04/16 [17:46]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이 가장 변수

기존 선거구 ‘치열’ vs 시설 선거구 ‘인물난’ 예상

이명우 기자 | 입력 : 2015/04/16 [17:46]

천안․아산 지역 후보자 예상자 민심 눈치보기 극심
 
20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내년 4월 13일 치러지는 20대 총선은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의미와 함께 대선을 1년 앞둔 선거라는 점에서 향후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내년에 치러질 20대 총선은 세월호 2주기와 맞물려 있으며 최근 터진 성완종 전 경남기업회장의 다잉페이퍼로 인해 최근의 어떤 선거보다도 여권에 유리할 것이 없다는 평가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천안지역의 경우 일단 선거구 증설이 초미의 관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선거구 증설과 획정 여부에 따라 출마를 저울질하는 후보군도 상당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갑과 을 2개의 선거구인 천안지역은 인구면에서 선거구 증설은 확실시 되고 있지만 선거구 분구 형태에 대해선 행정구역에 따라 분구하는 경우와 천안시 전체를 1개의 행정구역으로 보고 이를 3등분하는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일반적으로 행정단위로 구분하는 것이 선거구 증설의 기본 요인이지만 천안은 단일지자체의 행정구이기 때문에 시 전체를 3등분해 선거구를 획정하게 될 것이 유력해 보인다.

지역 정가에서는 이 경우 2012년 선거 당시와 비슷하게 갑 지역 일부(광덕, 풍세, 신방)와 을 지역 일부(쌍용동)를 독립시켜 새로운 선거구로 획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4선 도전이 확실한 새정치연합 사무총장 양승조 의원의 거취가 주목된다.

양 총장의 출신지역이 신설 선거구와 겹쳐 새로운 선거구에서 새롭게 둥지를 틀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양 총장의 거취가 확정되면 갑 지역에선 새정치 연합 후보로 이규희 전 민주당 천안시장 후보와 한태선 전 민주당 정책위부의장과 전종한 천안시의회 의원이 경선에 나설 태세다.

새누리당에서는 전용학 당협위원장의 출마여부가 불확실한 가운데 성무용 전 천안시장의 출마설이 나오고 있으며, 정순평 전 충남도의장, 김수진 주택관리공단 기획이사, 도병수 변호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6.4지방선거 당시 새누리당 천안시장 후보였던 최민기 전 천안시의장과 박찬우 전 안전행정부 차관은 아직 출마여부나 지역을 표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2012년 19대 총선에 출마했던 강동복 전 도의원도 전용학위원장이 불출마할 경우를 전제로 선거전에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을 지역에선 새정치연합 원내대변인인 박완주 의원의 재선 도전이 유력하지만 고경호 전 충남경제진흥원장의 도전 역시 만만찮다. 언론인 출신으로 꾸준히 정계진출 여부를 타진했던 고 전 원장 역시 자천타천으로 후보자로 거론된다.

새누리당에서는 이 지역에 정종학 당협위원장과 이정원 전 천안시의장, 이충재 전 천안시의장, 박중현 전 천안시의원 등이 유력 후보자로 떠오르고 있다. 가능성이 낮아 보이긴 하지만 박상돈 전의원이 복권 될 경우 최대 파란이 예상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신설되는 지역구에는 새누리당에선 박찬우 전 차관과 안상국 천안시의회 부의장이 거론되지만 박 차관이 거취를 유보하고 있으며 최근 시의회 주변에서 안부의장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정치 연합에선 양승조 총장이 도전 할 경우 마땅한 대항마가 없이 후보로 안착할 것이란 예상이다.
아산지역 역시 각종 변수가 상존하는 선거구다.

재선의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과 새정치연합 김선화 지역위원장이 4년 만에 리턴매치를 벌일 것으로 보여지지만 도지사 도전을 꿈꿔 왔던 이 의원이 국회의원을 접고 2년뒤에 있을 도지사 도전을 위한 길을 갈 것이란 예상도 없지 않다.

또 선거구 증설이란 변수 역시 기존 판도의 최대 복병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선 이 경우 복기왕 현 시장의 거취도 심상치 않다는 시각도 있다.

이들 지역은 총선을 1년 앞두고 터진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발 리스트 논란도 표심을 변화시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는 정치권에 대한 전반적 불신을 부채질함은 물론, 검찰수사 결과와 관계없이 자칫 충청권 홀대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큰 파장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는 국회의원 선거구의 인구편차가 2:1 (33.3%)을 초과하면 위헌이고 각 선거구의 인구는 선거구 평균인구 ±⅓배 이내여야 한다고 판결하면서 천안과 아산에서의 선거구 증설이 확실시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