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1월의 독립운동가 이민화 선생 선정

독립기념관, 특별기획 전시회 개최

윤광희 기자 | 기사입력 2012/12/27 [17:55]

1월의 독립운동가 이민화 선생 선정

독립기념관, 특별기획 전시회 개최

윤광희 기자 | 입력 : 2012/12/27 [17:55]
▲     ©충남신문
독립기념관(관장 김능진)은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독립운동가 이민화(李敏華, 1898. 1. 13 ~ 1923. 9. 13) 선생을 2013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그 공훈을 기리는 전시회를 1월 한 달간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에서 개최한다.

선생은 1898년 1월 13일 충남 아산군 염치면 방현리에서 충무공 이순신의 11대 손으로 태어났다. 선생은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고 1917년 12월 중국 만주로 망명하였다.  

망명 후 선생은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와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에서 교관으로 활동하였고 1920년에 북로군정서의 군사간부학교인 사관연성소(士官鍊成所)가 설립되자 제2학도대 제2구대장에 임명되어 생도를 통솔하였다.
 
사관연성소 제1회 졸업생을 중심으로 교성대(敎成隊)가 조직된 후에는 소대장으로 활동하는 등 선생은 항일무장투쟁에 필요한 정예군인 양성에 힘을 쏟았다.  

또한 1920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전개된 청산리 대첩에서 선생은 북로군정서의 종군장교로 참가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 충남신문

 특히 청산리 대첩의 첫 전투였던 백운평 전투에서 선생은 부대를 산허리에 매복시키고 일본군을 공격하였으며, 천수평․어랑촌 전투에서도 고지를 선점하고 적을 섬멸하는 등 큰 전공을 세웠다.  

청산리 대첩 후 일제의 탄압을 피해 근거지인 중국 만주를 떠나 러시아로 이동한 선생은 1923년 9월 13일 러시아에서 중국 북만주로 돌아오던 중 밀산(密山)에서 일본군의 사주를 받은 중국 토비와 교전하다가 전사 순국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